새만금 건설 현장 스케치
Lithiumnews / 04
[공지] 리튬플러스 "리튬이차전지용 수산화리튬 NEP 인증 예정"

[서울=뉴시스] 김경택 기자 리튬플러스는 현재 금산 추부 공장에서 생산·판매하고 있는 배터리급 초고순도 수산화리튬이 산업통상자원부의 신제품(NEP) 인증 예정 대상에 포함됐다고 16일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지난 13일 '2023년 제3회 신제품 인증 예정제품'을 공고했다. 리튬플러스의 수산화리튬은 화학·생명 분야에서 유일한 인증 예정 신제품으로 이름을 올렸다. 리튬플러스는 앞서 올해 5월 친환경적 고순도 수산화리튬 생산 기술에 대해 신기술(NET) 인증을 받은 바 있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심사 대상 기술에 대한 엄격한 이론적·실험적 평가를 거쳐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됐거나 기존 기술을 혁신적으로 개선한 우수한 기술을 신기술(NET)로 인증한다. 그 기술을 핵심기술로 적용해 실용화가 완료된 제품 중 성능과 품질이 우수한 제품으로서 경제적·기술적 파급 효과가 큰 제품에 한해 신제품(NEP)으로 인증한다. 제품 생산 현장에 대한 실사, 제품의 품질 등에 대한 엄격한 평가를 거쳐 신기술 중에서도 극히 일부의 상용화 성공 제품만 신제품으로 인증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선정된 리튬플러스의 제품은 저순도 탄산리튬을 활용해 생산된 이차전지용 초고순도 수산화리튬으로, 회사의 금산 추부 공장에서 생산돼 현재 국내외 다양한 업체에 판매되고 있다. 환경에 유해한 황산, 유기용매 등의 독성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폐수 발생이 거의 없어 생산과정이 환경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생산된 제품의 탄산과 불순물 함유량이 특히 낮아 이차전지 소재용 원료 등으로 공급되고 있다. 신제품으로 인증되면 정부로부터 새로운 수요를 만들어 내기 위한 각종 자금지원과 인증 신제품 우선구매 등 다양한 지원과 혜택을 받게 된다. 일례로 신제품 인증을 받으면 기술개발자금, 과학기술진흥기금, 기타 정부가 조성한 특별자금 등을 우선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고, 공공기관이 구매하려는 품목에 인증 신제품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품목의 구매액 중 20% 이상을 의무적으로 인증 신제품으로 구매해야 한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NEP 인증으로 기술 자체의 우수성은 물론 생산된 제품의 품질과 상용화 시설의 우수성에 대해 거듭 정부로부터 인정을 받게 됐다"면서 "리튬플러스의 자체 생산능력을 확대하는 것은 물론, 현재 새만금에 대량생산 시설을 구축하고 있는 관계사인 하이드로리튬,리튬포어스를 통해 이차전지 공급망의 핵심자원 생산 물량 확대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mrkt@newsis.com [해당 기사 링크]  

23.10.16
[공지] 리튬플러스, 조달청 대여 탄산리튬 290t 전량 상환 완료

(사진=리튬플러스).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김경택 기자  리튬플러스는 지난해 조달청에서 대여했던 탄산리튬 290t 전량을 자체적으로 생산한 배터리급 탄산리튬 현물로 상환 완료했다고 19일 밝혔다.   리튬플러스는 충남 금산 공장에서 탄산리튬을 원료로 2차전지나 전고체 배터리에 사용되는 초고순도 수산화리튬과 배터리급 탄산리튬을 제조하는 기업이다.   리튬플러스는 앞서 지난해 하반기 금산 제1공장을 완공하고 곧바로 12월에 배터리급 수산화리튬 초도품 생산에 성공했다. 이어 12월 말에는 광해광업공단과 조달청으로부터 탄산리튬을 대여해 이를 원료로 배터리급 수산화리튬과 탄산리튬을 생산해 왔다.   대여계약은 부산지방조달청이 비축물자로 보관하고 있던 칠레산 탄산리튬 290t을 최대 9개월의 기간 동안 회사에 대여하고, 회사는 대여기간 만료 후에 미국 또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에서 생산한 배터리급 탄산리튬(순도 99.5%) 현물로 상환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리튬플러스는 위 계약에 따른 대여기간과 상환조건을 모두 준수해 금산 제1공장에서 자체 생산한 배터리급 탄산리튬으로 대여물자 290t 전량을 지난 14일까지 부산지방조달청에 성공적으로 상환 완료했다. 탄산리튬 현물 290톤과 함께 탄산리튬의 원산지가 대한민국임을 증명하는 원산지 확인서, 상환된 탄산리튬의 순도가 계약조건(99.5% 이상)을 만족함을 확인하는 외부 공인기관 시험성적서 등의 부속 서류가 함께 제출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로써 광해광업공단과 조달청은 수입산 탄산리튬 일변도에서 벗어나 처음으로 국내산 배터리급 탄산리튬을 비축할 수 있게 됐다.   회사 관계자는 "앞으로도 안정적인 원료 확보를 통해 고객의 요구사항에 특화된 고품질의 리튬화합물을 제조·판매하는 한편, 광해광업공단과 조달청이 국내산 핵심 전략 광물의 비축량을 늘려가는 데에도 적극적으로 협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mrkt@newsis.com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해당 기사 링크]

23.09.20
리튬플러스고객센터 041-751-9901

평일 : 08:30~ 17:30
점심시간 : 12:00 ~ 13:00

온라인 문의하기
    국내 최초 리튬 이차전지용 고순도 수산화리튬 생산 기업

    Lithium Innovation by Insight

    국내 최초 리튬 이차전지용 고순도 수산화리튬 생산 기업

    Lithium Innovation by Insight

    국내 최초 리튬 이차전지용 고순도 수산화리튬 생산 기업

    Lithium Innovation by Insight

    13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인증받은 NET 신기술로
    생산된 리튬이차전지용 고순도 수산화리튬과
    탄산리튬을 판매하는 기업입니다.
    사업소개 바로가기
    이차전지 소재

    차세대 전지의 핵심소재

    배터리 소재용
    수산화리튬
    Battery Grade Lithium Hydroxide Monohydrate 제품 바로가기
    배터리 소재용
    탄산리튬
    Battery Grade Lithium Carbonate 제품 바로가기
    전고체 배터리용
    수산화리튬
    Ultra High Purity Lithium Hydroxide Monohydrate 제품 바로가기
    무수
    수산화리튬
    Lithium Hydroxide Anhydrous 제품 바로가기
    R&D 바로가기
    • 신기술(NET) 인증

      산업통상자원부의 2023년 제 1회
      신기술(NET) 인증 획득

      다운로드
    • 신기술(NET) 적용 제품

      물을 활용한 환경개선 리튬 2차전지용
      수산화리튬 일수화물(LHH-BG)

      다운로드